모든게 끝났다.

 

게임: 나왔다 트윈비 (Arcade)

부문: 연사없음

스테이지: 2주 All

점수: 4246700

플레이 날짜: 2023년 3월 14일

 

코멘트: 그렇게 길고 길었던 (?) 여정이 이제 끝이 난 모양이다.

 

사실 슈팅하는 유저들의 경우 5년을 넘어 10년 이상을 같은 게임에 집중하는 장인들이 꽤 있다보니 그 분들과 비교해서는

약과일 뿐이겠지만.. 게이밍 인생에 있어 가장 울컥했던 순간이었다. 나를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지는 모르지만.. 실제로 여러가지 게임들을 다양하게 즐겨오긴 했지만 하나의 우물에 집중해서 팔 정도로 장기간 동안 특정 게임을 파고나간 경험이 그다지 없었던 편이다.

 

이 게임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사실 단순했다. 게임이 고난이도로 유명하지만 실제로 클리어까지 가본 사람이 드물은 게임으로 소문난 게임 즉 나왔다! 트윈비에 대해 들었던 초반의 인상은 "도데체 트윈비 같은 게임이 그렇게 어려울 수가 있나? NES판으로는 거의 몇주차 이상을 갔던 기억이 있을 정도인데" 였다가 정작 영상을 보고나니 더욱 더 관심이 가기 시작했고 실제 아케이드 아카이브즈 이식판이 있어서 해보고 나니 정말 여러모로 미친 게임이었다. 하지만 그것과 동시에 옵션을 활용해서 베리어를 쳐내는 액션에 즐거움을 느꼈고 처음 시작 할때부터 들었던 생각은 "내가 이걸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 게임 기판까지 사다가 게임장에서 플레이를 하는것만으로도 운이 좋았다고도 할 수 있겠지만.. 이걸 처음으로 클리어를 할때까지 걸린 시간은 7개월... 누군가에게는 매우 긴시간이 아니냐고 느껴질수도 있지만 현재의 전일자 조차도 처음 클리어를 할때까지 걸린 시간은 6개월이었다고 한다. 또한 1~2년이 넘어서야 클리어가 나온 유저들도 몇명 있을 정도였다면.. 이 게임이 정말로 세상 최고로 어려운 게임이라고 단언 할 수는 없지만.. 한가지 확실한것은 "모두에게 호환이 되는 게임"은 아닌 느낌이긴 하다. 그리고 나는 그저 운이 좋은 케이스중 하나였을 뿐이고. 그렇게 처음으로 2주 클리어를 했을때 울컥했던 감정이 쏟아져 나와 버렸고 그 이후로도 게임을 계속 하게 되었다. 점수를 조금 더 올리고 싶었던 욕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해서 시작한것이 바로 400만점의 목표 점수.

 

 

https://youtu.be/oMklzhLMSks

 

점수는 계속해서 꾸준히 경신을 해나긴 했지만 400만점 이상 돌파하는데까지는 또 다른 시간이 걸렸다. 시간이 걸렸던 큰 이유는 어느 시점에서.. 397만점까지 가던 시점에서 게임이 질리고 지쳐갔기 때문이다. 게임장에 가서 게임을 할때마다 매번 2-3이나 2-4에서 미스가 나고 익스텐드도 없고 파워업도 바로 복구가 되지 않는 게임이 구조적인 특징 덕분에 미스가 날때마다 10초도 못 버티고 바로 게임 오버를 당해버리는 리커버리 헬이 곧 일상이 되어버렸고 그게 곧 "즐거움"이 아닌 그저 "피곤함"이 되어버렸기 때문. 거기에 게임이 끝나면 그때까지 플레이한 40분은 그냥 날려먹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을 해야되는데 거기서부터 또 초반부의 지루한 진행을 참고 견뎌야 했기 때문. 그래서 397만점의 경신 이후로는 다른 게임을 시작하며 이 게임을 쉬엄쉬엄 하기도 했다. 아카트로닉스를 방문 하더라도 2판 이상은 하기가 심적으로 지칠 수준까지 가버린것이다. 하지만 어차피 그때에는 특별히 더 하고 싶었던 게임도 없었기 때문에 꾸준히 실력 유지비 차원에서 계속 하기로 마음을 먹고 게임을 하기로 했는데..

 

그 날이었다... 게임을 하고 나서 2번째판에서 2-3의 느낌도 좋았고 2-4의 느낌도 좋았으며 2-5까지도 나름대로 파훼가 잘 되는 판이 있었다. 이런 경우는 그리 흔하지 않았으며 설사 2-5를 통과한다고 하더라도 2-6 마지막 절정에서 미스가 나버리면 모든게 도루묵이 되버리는것도 마찬가지로 일상이었다보니 2-6의 절정 구간이 다가오기 전까지는 크게 기대를 하진 않았으나 2-6의 클라이막스 구간을 무사히 통과하며 보스까지도 실수없이 잡아내어 2-7에 도달한 순간 점수는 386만점을 향해 있었다. 보자마자 "아 이건 각이다." 라는것을 느끼며 분노의 기합을 지르며 2-7을 시작. 2-7 자체는 생각외로 그리 어려운 스테이지는 아니지만 후반부 핑크색 탱크와 크리스탈 그리고 파란 중형기 포메이션 조합에 초록 지렁이 조합이 나오는 구간에서 미스나기가 쉬우며 거기서 미스가 나버리면 역시 마찬가지로 거의 게임오버 당하기가 쉽상이다. 안타깝게도 그 구간에서는 예상치 못한 반격탄이 갑자기 튀어나오는 바람에 미스가 났지만 이성을 잃지 않고 바로 빨간벨을 노려서 실드를 먹고 마지막 관문까지도 통과를 하여 400만점을 돌파했을 뿐만 아니라 420만점을 돌파해냈다. 여기까지 도달 하는데까지는 게임을 시작 한 날을 기준으로 정확히 2년이 다 되어가는 시점이다.

 

전일자의 점수의 경우는 472만점 (연사있을때), 연사가 없는 경우는 466 만점, 즉 연사 없는 부분으로 비교를 하면 40만점 차이인셈이다. 혹시나 해서 또 다른 이론치를 만들어 보았는데

 

 

실수를 아예 하지 않았다고 가정을 하면 455만점까지는 갈 수 있다는 것이 이론치. 그래서 게임을 계속 할까에 대해서도 고민을 하게 되었지만 나온 트윈비의 여정은 여기까지만 하기로 했다. 물론 심적으로 지친 게임을 계속 해봐야 즐겁지 못할 거란 부분도 있긴 하지만 사실 가장 큰건 다른 게임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는 점이 더 크다. 앞으로 어떤 게임이 주력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크게 움직여서 만들어내는 꼬리 장벽을 사용해 쉴세없이 다가오는 폭풍의 반격탄을 막아내는 액션은 다시는 나타나지 못할 기적이며 이 기억은 게이밍 인생에 있어 가장 큰 기억으로 남을것이라 보고 있다.

 

https://youtu.be/lNOWuvpBgHM

(STG Weekly라는 슈팅 채널에도 피쳐 되었다. 마찬가지로 매우 특별한 기억이다)

Posted by ReFKey
,

https://youtu.be/ZHCyff4UAPs

 

게임: 나왔다! 트윈비 (아케이드 기판)

부문: 연사 없음

스테이지: 2주 올클리어

게임 세팅: 디폴트 세팅 (3목숨, 익스텐드 없음, 노멀 난이도)

 

코멘트: 392만점으로 경신을 했을때가 아마 4개월 전인것 같은데.. 이번에 5만점 경신을 했다는 것에 약간의 신기함을 느낀다. 392만점 클리어 이후 노미스 클리어를 한번 했었지만 점수상으로는 392만점을 넘기지 못해서 약간의 아쉬움이 남기는 했지만 이번에는 노미스 경신을 한번 했고 또한 영상까지도 확보가 되었다는 점에서 이번 플레이도 상당히 만족스럽게 뽑힌것 같다는 생각....

 

단 약간의 아쉬운점이라면 벨을 조금만 더 잘 챙겼어도 400만점은 정말로 달성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 요근래에 와서는 이 게임을 자주 하는 편은 아닌것 같다. 개인적으로 경신을 했다는것 자체에는 매우 좋게 생각은 하지만 게임플레이 그 자체는 상당히 stale 해진 느낌도 없지 않아 있었기 때문...

 

그렇기 때문에 번아웃이 오지 않도록 게임플레이 시간을 적당히... 일주일에 한번씩 몇판 해서 부족하다 싶은 구간 위주로 Derust를 하는식으로 나가는게 더욱 장기적으로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Posted by ReFKey
,

지난번에 비해 만점 경신...

 

 

 

게임: 나왔다! 트윈비

세팅: 디폴트 세팅 (목숨 3개, 스코어 익스텐드 없음, 연사장치 없음)

난이도: 노멀

플레이 날짜: 2022년 7월 24일

 

코멘트: 마지막으로 경신했던 날짜가 5월 5일... 그로부터 2개월 19일 만에 만점 소폭 경신을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게임 초반 시작부터 빌드 실수를 했을때부터 "아 이번판 점수는 망한거네" 싶었는데 오히려 경신으로 이어져버린것... 반대로 말하자면 실수를 안했다면 400만은 그냥 넘기고도 남았을 판이었다는 것...

 

그 이후로도 계속 게임을 꾸준히 하고 있지만... 일관성이 나오질 못하고 있는것 같다.

거의 일관성이 안나오고 있는 구간이라고 한다면

2-3 후반부랑 2-5 개막 그리고 2-6 하이지대 요 세곳이 아닐까 싶다.

 

악명높은 2-4의 경우는 2-3까지 노미스가 된다면 나름대로 나쁘진 않은것 같다.

현재로써는 다른 게임들도 조금씩 하고 있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구간에 대한 디테일 리파인먼트를 당장은 할것 같진 않지만.. 일단 꾸준히 좀 더 했다가 확실하게 필요한 디테일을 파악하고 연습을 해나가는 방향으로 가지 않을까 싶다.

 

게임자체가 한판 2주 ALL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54분.. 그리고 평균 한판당 게임오버가 된다고 가정할때 소요되는 시간은 40~50분 사이... 그래서 그런지 플레이 판 수가 그리 많지는 않다. 매번 이야기를 하는거긴 하지만 이것은 스스로에게 지속적으로 당부를 하기 위한것...

 

"장기적으로 천천히 꾸준히"

Posted by ReFKey
,

400만점이 코앞... 조금만 더..

 

https://youtu.be/1mpafAEm-p8

 

스코어: 3912200

부문: 연사없음

스테이지: 2주 ALL

코멘트: 400만점이 가까워지고 있다. 사실 이번판의 경우는 2-1에서 미스가 나서 복귀를 하고 이대로 클리어를 하는것을 노렸는데 나도 모르게 391만점을 획득한것 같다. 확실히 실수를 좀 더 줄이고 작은 디테일에서 신경 쓸 수 있는 구간에 더욱 신경을 쓴다면... 400만점은 곧 가능성은 있어보인다..

 

Posted by ReFKey
,

오랜만의 자기 베스트 경신!

 

 

 

점수: 381만 3100점

 

부문: 디폴트 세팅 2주 ALL 연사 없음

 

코멘트: 해당 성과는 4월 5일에 해냈으나 블로그에도 기록하는것을 잊고 있었다. 어쨌든 지난번 클리어 기록은 350만점에서 30만점 업데이트를 한것이다. 사실 원래대로라면 2-6에서 미스가 나지 않았다면 400만점을 획득하고 클리어하는 엔딩으로 갈것으로 예상했으나 2-6에서 정말 치명적인 실수를 해버린것. 그러나 다행인것은 2-6에서 미스가 났어도 어떻게든 부활을 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천운이 따른것이라고 볼 수 밖에는... (어지간해선 이 구간에서 미스가 나면 게임오버는 그냥 확정이라고 봐도 무방). 400만점으로 업데이트가 되진 않았으나 실기 플레이 영상을 확보하는데에는 성공을 했기때문에 매우 만족스럽다. 앞으로도 아카트로닉스 게임센터로 가게 되면 계속 하게 될 게임이긴 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게임도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없지는 않다. 물론 아직 그 "새로 배우고 싶은 게임"이 뭔지는 모르겠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도 나온비를 하면서 또 생각해보지 않을까?

Posted by ReFKey
,

점수: 353만 2700점
부문: 연사 장치 OFF
스테이지: 2주 올클리어

코멘트: 지난번에 처음 올클리어는 1미스 340만점 클리어였지만 이번에는 노미스 353만점으로 업데이트! 앞으로도 계속 할게임일것 같다.

Posted by ReFKey
,

게임: 나왔다! 트윈비 (JP)
부문: 연사설정 (X)
스테이지: 2주차 올클리어
스코어: 3407900

코멘트: 솔직하게 이야기해서 나는 이 게임을 무려 1년 혹은 2년 정도 걸려서 올클리어를 해낼거라 생각했지만 기어코 7개월만에 이걸 해버렸다. 실제로 이 게임은 일본을 제외하면 해외에서 클리어한 사람이 없고 이미 이 게임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있는 사람들이 2주차 클리어에 도전하겠다고 나섰지만 포기해버린 게임이기도 하다. 그러나 아이러니 한 점이라고 한다면 STG 장르를 입문한지 얼마 되지 않은 내가 이 게임을 해외 최초 올클리어한 셈이 된거고 내가 지금까지 해왔던 STG중에서도 2주차 엔드 게임을 클리어한 유일한 게임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솔직히 지금도 여운이 사라지지 않았다. 솔직히 게임자체는 벨시스템부터 시작해서 호불호갈리는 요소가 명확한 STG인데 개인적으로는 마음에 들었던 게임이었기에 계속 연습과 노력을 한것 같다. 일본에 계시는 전일플레이어분으로 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고 그것에도 매우 감사하고 있으며 게임 기판 가동을 허용해준 아카트로닉스에도 매우 감사하고 있다.

2주차 클리어의 마지막 관문 직카

잘 알려지지 않은 게임이라고 해도 역시 그때의 코나미는 진짜 코나미였다.

Posted by ReFKey
,

지난번에는 2-5까지 도달하였으나 점수상으로는 270만점이었다.

스코어: 3135950

스테이지: 2-4

부문: 연사버튼 X

 

코멘트: 데타나 트윈비를 시작한지는 대략 7개월정도 된것 같다. 2주차 클리어를 목표로 계속 꾸준히 하고 있었던것 같다. 게임의 특징상 2주차 올클까지 걸리는 시간은 대략 50분 가량으로 코나미 기준으로 놓고보면 2주차 엔드치고는 짧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지만 케이브나 사이쿄와 비교를 해놓고 보았을시에는 여전히 긴편으로 보인다.

 

비록 게임의 특징상 갖고 있는 잔기 수는 2개뿐이고 스코어 익스텐드 보너스도 아예 없는 게임이라는 가혹한 특징이 있긴 하지만.. 봄이나 리소스를 관리해야 스코어링이나 생존 할 수 있는 다른 슈겜과는 달리 이 게임의 경우는 집중해야되는것은 크게 두가지...

 

- 보라색 벨을 회수하여 얻어지는 테일 베리어 능력으로 각종 탄막이나 위험요소들을 제거해내는것과..

- 미스가 나게 될 경우 본래의 파워업으로 다시 되돌리기 위한 부활 작업

 

이 두가지만을 생각하면 된다 (라곤 하지만 말이 쉽지 실제로 하는건... 여전히 반이상은 그냥 기합이다)

 

그렇다보니.. 어찌보면 테일베리어를 활용하면서 시간차 반격탄에 적응해야되는것과 동시에 벨을 회수하는 요소 그자체가 입문벽으로 다가오는 게임이기도 하지만 나름 입문을 하고 나면 꽤 편하게 즐길수 있는 게임(?)이기도 하다.

 

물론 2주차 클리어 그 자체는 전혀 편하진 않지만 말이다 (?)

아마도 2-4구간부터 2-7까지의 연결이 일관성이 나올때까지는 집에서 플레이를 한다면 이 구간 위주로 계속 연습을 할것 같다.

 

2-4에서 2-7까지의 연결이 일관성이 생긴다면.. 그때부터는 이 게임의 2주차 클리어의 승산은 확실히 있다고 말할 수 있으니 말이다.

 

 

Posted by ReFKey
,

코멘트: 2-4 보스전까지 도달하여 경신한지 얼마 되지 않아 2-5까지 진출 하게 되었다. 이 게임의 마지막 스테이지는 2-7까지이며 현재까지 2-6의 고속지대와 2-7 구간을 제외하면 전반적인 플레이 루트는 잡혀있는 편이긴 하지만 아직 안정화가 되지는 못했다. 때문에 플레이를 하게 되면 보통은 2-2나 2-3에서 게임오버가 되는게 평균이다. 하지만 이렇게 2-5까지 정작 진출을 하게 되고 나니... 2-5와 2-6 구간까지 안정화가 된다면 이 게임의 2주 클리어는 아주 불가능은 아닌 단계에 도달했다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다. 2-7의 경우는 아케이드 아카이브 버전으로 연습을 더 해봐야 제대로 알겠지만 만약 2-7 구간이 전반적으로 크게 어렵지 않다면 2주 올클리어는 생각보다 금방 이루어 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중요한것은 앞으로 근 6개월간 게임 할 시간이 좀 많이 있다면 말이다.

Posted by ReFKey
,

코멘트: 1-7에서 미스가 한번 나버려서 2-1에서 부활을 시도하다가 어쩌다가 부활이 성공이 됬는데 그 기세로 2-4 후반부까지는 문제없이 통과... 그러나 2-4 후반부에서 미스가 나버렸고 결국 2-4의 보스를 넘기지 못했다.

 

하지만 최초로 2-4 보스전까지 갔고 스코어도 경신. 앞으로도 2주차 클리어를 위해 필요한 테일 베리어 사용에 계속해서 능숙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것을 느낀다.

 

 

Posted by ReFKey
,